SCCM 설치시 AD 이중화 환경에서 스키마 확장 명령어인 Extadsch.exe를 실행했을떄 failure 오류가 나는 경우..

스키마 확장이 FSMO 롤이 아닌 AD에서 실행할때 나오는 오류 로그다.

오류 로그 내용>

<02-14-2019 14:44:40> Modifying Active Directory Schema - with SMS extensions.
<02-14-2019 14:44:40> DS Root:CN=Schema,CN=Configuration,DC=****,DC=TEST
<02-14-2019 14:44:41> Defined attribute cn=MS-SMS-Site-Code.
<02-14-2019 14:44:41> Defined attribute cn=mS-SMS-Assignment-Site-Code.
<02-14-2019 14:44:41> Defined attribute cn=MS-SMS-Site-Boundaries.
<02-14-2019 14:44:41> Defined attribute cn=MS-SMS-Roaming-Boundaries.
<02-14-2019 14:44:41> Defined attribute cn=MS-SMS-Default-MP.
<02-14-2019 14:44:41> Defined attribute cn=mS-SMS-Device-Management-Point.
<02-14-2019 14:44:41> Defined attribute cn=MS-SMS-MP-Name.
<02-14-2019 14:44:41> Defined attribute cn=MS-SMS-MP-Address.
<02-14-2019 14:44:41> Defined attribute cn=mS-SMS-Health-State.
<02-14-2019 14:44:41> Defined attribute cn=mS-SMS-Source-Forest.
<02-14-2019 14:44:41> Defined attribute cn=MS-SMS-Ranged-IP-Low.
<02-14-2019 14:44:41> Defined attribute cn=MS-SMS-Ranged-IP-High.
<02-14-2019 14:44:41> Defined attribute cn=mS-SMS-Version.
<02-14-2019 14:44:41> Defined attribute cn=mS-SMS-Capabilities.
<02-14-2019 14:44:41> Failed to create class cn=MS-SMS-Management-Point.  Error code = 8202.
<02-14-2019 14:44:41> Failed to create class cn=MS-SMS-Server-Locator-Point.  Error code = 8202.
<02-14-2019 14:44:41> Failed to create class cn=MS-SMS-Site.  Error code = 8202.
<02-14-2019 14:44:41> Failed to create class cn=MS-SMS-Roaming-Boundary-Range.  Error code = 8202.
<02-14-2019 14:44:41> Failed to extend the Active Directory schema, please find details in "C:\ExtADSch.log".

FSMO 롤이 어딘지 모를 경우 netdom query fsmo 명령어를 명령프롬프트에서 실행하여 확인한후 FSMO 역할을 가진 AD에서 스키마 확장을 하면 정상적으로 스키마 확장이 된다..

 

[환경]

Lync 2013

[문제]

이중화된 Lync 2013의 Front End 서버에서 아래의 메시지가 계속 발생합니다.

반복해서 41026 & 41025 오류가 발생하는데.. 이 오류가 반복되면 ppt 공유시 세션이 끊기거나 정상적으로 되지 않습니다.

 

[원인 및 해결]

2017년 5월 lync 업데이트 이후 발생하는 버그성 이슈입니다.

레지스트리 추가하면 되고 아래 기술자료의 내용대로 진행하면 됩니다.

1. 레지스트리 편집기에서 아래의 경로로 이동합니다.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NETFramework\v4.0.30319\

2. 마우스 우클릭 후 [새로만들기>키}를 클릭하여 아래 이름의 키값을 새로 생성합니다.

   System.Net.ServicePointManager.RequireCertificateEKUs

3. 오른쪽 화면에서 마우스 우클릭 Dword 값으로 C:\Program Files\Microsoft Lync Server 2013\Web Conferencing\DATAMCUSVC.exe 를 생성하고 값은 0으로 설정합니다.

4. 서비스로 이동하여 Lync Server 웹 회의 서비스(RTCDATAMCU)를 재시작합니다.

[참고자료]

5 월 2017 설치한 후 LS 데이터 MCU 이벤트 41024, 41025 및 41026 지속적으로 생성.NET Framework 업데이트

https://support.microsoft.com/ko-kr/help/4023993/ls-data-mcu-41026-41025-and-41024-after-may-2017-net-framework-update

 

 

[문의사항]

Windows 7 에 대한 MS 지원은 언제까지인지?

MS에서 인텔 CPU 지원정책은?

[답변사항]

Windows 수명 주기 팩트 시트

https://support.microsoft.com/ko-kr/help/13853/windows-lifecycle-fact-sheet

클라이언트 운영 체제

 최신 업데이트 또는 서비스

 일반 지원 종료

 연장 지원 종료

Windows Vista 

서비스 2

2012 04 10

2017년 04월 11

Windows 7 *

서비스 팩 1

2015 01 13

2020 01 14

Windows 8 

Windows 8.1

2018 01 09

2023 01 10

Windows 10 **

사용 가능한 업데이트 보기

2020 10 13

2025 10 14

 

업데이트된 Windows 7 & 8.1 지침과 Microsoft 지원 정책 

프로세서 세대

프로세서 모델

OS 지원

KabyLake

7세대 Core 프로세서(i7, i5)

Windows 10에만 해당

6세대 Xeon 프로세서

SkyLake

6세대 Core 프로세서(i7, i5)

Windows 7, 8, 8.1

5세대 Xeon 프로세서

 

아래는 Skylake에 대한 MS 지원 정책에 대한 내용이 포함된 자료 입니다.

수명 주기 지원 정책 FAQ - Windows 제품

https://support.microsoft.com/ko-kr/help/18581/lifecycle-support-policy-faq-windows-products

내용 발췌

Windows에서 최신 프로세서 칩셋 지원

 

16. Windows에서 최신 실리콘 혁신을 지원하는 Microsoft 방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어디서 확인할 있나요?

기업 고객을 위한 권장 사항의 자세한 내용을 공유하려고 했습니다. Windows 10에서 작업을 시작한 이후 작업이 완료될 때마다 Windows 환경에서 기대할 있는 기능을 고객에게 투명하게 전달하려고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 블로그 게시물에서 확인할 있습니다. Windows 10 실리콘 혁신 수용 추가 정책 업데이트.

17. Microsoft 새로운 프로세서와 칩셋이 릴리스될 어떻게 지원할 계획인가요?

실리콘 세대가 도입될 경우 지원 당시의 최신 Windows 플랫폼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이전 세대의 플랫폼 실리콘과의 호환성 최대 안정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Windows 실리콘 간의 완벽한 통합에 집중할 있습니다. 예를 들어 Windows 10 Intel 예정된 “Kaby lake” 실리콘, Qualcomm 예정된 “8996” 실리콘 AMD 예정된 “Bristol Ridge” 실리콘에서 지원되는 유일한 Windows 플랫폼입니다.

18. Windows 7 또는 Windows 8.1에서 이전 세대의 프로세서 칩셋에 대한 지원 정책은 무엇인가요?

Windows 7 Windows 8.1 표준 Windows 지원 수명 주기 따라 이전 세대의 프로세서 칩셋에 대한 보안, 안정성 호환성을 계속 지원합니다. 현재 개인 고객이나 기업 고객이 구매할 있는 디바이스 대부분과 Intel Broadwell, Haswell 실리콘 세대 같은 실리콘 세대가 포함됩니다.

19. 2015 말에 릴리스된 Intel 6세대 프로세서(Skylake라고도 ) 포함된 Windows 7/8.1 디바이스에 대한 지원 정책은 무엇인가요?

또한 지원되는 목록 있는 Skylake 디바이스에는 지원 종료 일자까지 Windows 7 Windows 8.1 적용되는 모든 보안 업데이트를 적용할 있습니다. 기간이 종료된 후에도 계속 지원을 받으려면 지원 기간 동안 이러한 시스템을 Windows 10으로 업그레이드해야 합니다. 유념할 점은 Windows 7 대한 지원이 디바이스에 상관없이 모두 2020 1 14일에 종료되고 Windows 8.1 대한 지원이 2023 1 10일에 종료됩니다.

보유한 프로세서의 세대를 식별하는 방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Intel 프로세서 번호 페이지를 참조하세요.

20. Windows 7 Windows 8.1에서 지원되는 Skylake 디바이스 목록은 어디서 확인할 있나요?

Microsoft Windows 7 Windows 8.1에서 지원되는 Skylake 시스템 보여 주며 정기적으로 업데이트되는 OEM 페이지 목록을 게시했습니다.

21. Microsoft Skylake 지원 정책을 어떻게 변경했나요?

고객 의견에 맞춰 Microsoft 이전에 전달한 정책 가지 측면에서 업데이트했으며, 지원 목록에 있는 Skylake 디바이스를 Windows 7 Windows 8.1 대한 지원 종료 일자까지 지원합니다.

23. Windows Embedded 7, 8 또는 8.1에서 이전 세대의 프로세서 칩셋에 대한 지원 정책은 무엇인가요?

Windows Embedded 7, 8 또는 8.1 표준 Windows 지원 수명 주기 따라 이전 세대의 프로세서 칩셋에 대한 보안, 안정성 호환성을 계속 지원합니다. 여기에는 현재 구입할 있는 대부분의 디바이스가 포함됩니다.

 

[참고자료]

"The processor is not supported together with the Windows version that you are currently using" error when you scan or download Windows updates

https://support.microsoft.com/en-us/help/4012982/the-processor-is-not-supported-together-with-the-windows-version-that

Windows 7 Windows 8.1에서 지원되는 Skylake 시스템

https://support.microsoft.com/ko-kr/help/11675/windows-7-windows-8-1-skylake-systems-supported

Microsoft Windows Operating System support for Intel Kaby Lake processors

https://www.dell.com/support/article/kr/ko/krdhs1/sln304217/microsoft-windows-operating-system-support-for-intel-kaby-lake-processors?lang=en

 

[문의사항]

outlook 2007에서 2010으로 업데이트한 후 [제어판-메일]로 가서 새 프로필을 생성하여 Exchange Online으로 연결시 암호 묻는창에서 암호 확인이 안됨.

[해결방법]

Office 2010 설치후 office를 최신버전까지 업데이트를 해야지만 Exchange Online에 연결 가능합니다.

그러므로 아래의 업데이트 파일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하면 어떤지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관련내용은 참고자료 링크를 참고해주시기 바라며 다운로드 링크를 클릭하여 다운로드하여 순서대로 설치한 후 다시 한번 새 프로필을 만들어서 진행해 주시기 바랍니다.

 

[설치순서]

1.     Office 2010 sp2 업데이트 (https://support.microsoft.com/ko-kr/help/2687521/list-of-all-office-2010-sp2-packages)

다운로드 링크>
Microsoft Office 2010
용 서비스 팩 2 (KB2687455) 32비트 버전

https://www.microsoft.com/ko-KR/download/details.aspx?id=39667

2.     Outlook 최신버전 업데이트 (https://support.microsoft.com/ko-kr/help/4011196/descriptionofthesecurityupdateforoutlook2010october10-2017)

다운로드 링크>

Microsoft Outlook 2010 (KB4011196) 32비트 버전용 보안 업데이트

https://www.microsoft.com/ko-kr/download/details.aspx?id=56101

 

[참고자료]

Outlook 업데이트

https://support.office.com/ko-kr/article/Outlook-%ec%97%85%eb%8d%b0%ec%9d%b4%ed%8a%b8-472c2322-23a4-4014-8f02-bbc09ad62213?ui=ko-KR&rs=ko-KR&ad=KR

 

램메모리 분석 툴로 실제 메모리가 어느 프로세스에서 점유하고 있는지 정확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보내주신 process explorer로 확인이 어려운 점유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RAMMap v1.5

https://docs.microsoft.com/ko-kr/sysinternals/downloads/rammap

RAMMap screenshot

 

실제 메모리 소비에 대하여 시스템 파일 캐시가 차지하고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일 수 있으므로 위의 링크에서 RAMMap툴을 이용하여 분석한 후 아래의 관련자료 내용 참고하여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관련자료]

시스템 파일 캐시 실제 RAM의 대부분을 소비 하는 경우 응용 프로그램 및 서비스 성능 문제가 발생

https://support.microsoft.com/ko-kr/help/976618/you-experience-performance-issues-in-applications-and-services-when-th

 

Introduction to the new Sysinternals tool: RAMMap

http://blogs.technet.com/b/askperf/archive/2010/08/13/introduction-to-the-new-sysinternals-tool-rammap.aspx

 

 

[환경]

Windows 7

[문의사항]

폴더명을 바꾸려고 하는데 안 바뀌어서 문의 드립니다.

해당 파일은 모두 사용 중이지 않은 상태입니다.

[해결방법]

아래의 방법으로 특정 폴더에서 어떤 프로세스가 사용중인지 확인해 볼 수 있으며 끊을 수 있습니다.

1.  Process explorer를 실행합니다. (https://docs.microsoft.com/en-us/sysinternals/downloads/process-explorer)

2. Ctrl+F를 클릭하여 Search창이 뜨면 찾고자 원하는 폴더 경로를 입력한 후 search를 클릭합니다.

3. 해당 폴더를 사용중인 프로세스를 확인했으면 Process Explorer에서 해당 프로세스를 찾아서 마우스 우클릭 후 [Kill Process]를 하여 프로세스를 종료 시킨 후에 다시한번 폴더 이름 바꾸기를 해봅니다.

d

안녕하세요.

란스로테입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올리고.. 그만~^^;;

엑셀에서 인쇄 방지기능을 설정하는 방법! 입니다.

2007버전부터 XML 인터페이스로 바뀌어서 XML로 변경하여 특정 파일에 리본 메뉴를 비활성화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 부분을 편집할 수 있는 편집 툴이 나와 있었네요.

 

이런 툴이 있는지 몰랐다가 처음 접해보고는 신기했네요. 메뉴 추가도 XML로 자유자재로 가능합니다.

 

[문의사항]

Excel에서 인쇄기능을 비활성화 하고 싶다.

   

[답변사항]

Office Custom UI Editor 프로그램으로 가능합니다.

이 프로그램은 오피스의 메뉴 프로그램을 제어하기 위한 리본메뉴의 편집을 할 수 있는 툴로서 해당 툴은 XML을 통해서 편집 가능합니다.

   

아래와 같이 편집하는 경우 엑셀 2007~2013버전에서는 VBA 코드 없이 인쇄기능을 막을 수 있습니다.

   

1. 첨부한 OfficeCustomUIEditorSetup.zip파일의 압축을 풀고 OfficeCustomUIEditorSetup.msi파일을 설치합니다.

2. 설치하면 [Custom UI Editor For Microsoft Office]라는 프로그램이 [시작-모든 프로그램] 메뉴에 추가가 됩니다.           

 

  • 해당 프로그램을 연 후에 [File-Open]을 클릭하여 xlsm파일을 엽니다.

3. 추가한 파일을 선택한 후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클릭하여 [Office 2010 Custom UI Part] & [Office 2007 Custom UI Part]를 추가합니다.

4. 추가가 되면 아래와 같이 CustomUI14.xml & CustomUI.xml 파일이 추가됩니다.
CustomUI14.xml파일이 Office 2010~2013용 UI 변경 xml 파일이고 CustomUI.xml 파일이 office 2007용 UI변경 프로그램입니다.

 

 

5. 각 xml파일에 아래의 xml구문을 추가해줍니다.

CustomUI14.xml

<customUI xmlns="http://schemas.microsoft.com/office/2009/07/customui">

<commands>

<command idMso="FilePrintQuick" enabled="false"/>

<command idMso="TabPrint" enabled="false"/>

<command idMso="FilePrint" enabled="false"/>

</commands>

</customUI>

CustomUI.xml

<customUI xmlns="http://schemas.microsoft.com/office/2006/01/customui">

<commands>

<command idMso="FilePrintQuick" enabled="false"/>

<command idMso="FilePrint" enabled="false"/>

</commands>

</customUI>

  

   

6. 아래와 같이 입력이 각각 되었으면 저장하고 프로그램을 종료합니다.

   

7. 파일을 excel 2010 및 2007에서 열어서 인쇄기능이 비활성화 되었는지 확인해 봅니다.

Excel 2013 화면    

  

Excel 2007    

 

   

 [추가 방법]

Custom UI Editor Tool http://openxmldeveloper.org/blog/b/openxmldeveloper/archive/2006/05/26/customuieditor.aspx

안녕하세요!

오늘의 툴은 지난번 XLCleander에 이어서 두번째! Windows 8이후버전에서 활용 가능한 XLStyles Tool입니다.

Windows 7용 프로그램인 XLCleanerDotNET4.0은 Windows 8이상 버전에서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오류가 나옵니다.

 

그러므로 Windows 8에서는 쓸 수 없으며 Windows 8에서는 스토에서 XLStylesTool 파일을 다운로드 하여 설치해서 사용해야합니다.

다운로드 경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위의 링크를 클릭하면 자동으로 설치하는 화면이 나옵니다.

 

 

앱을 설치하면 앱화면에 설치된 툴이 보입니다.

 

XLStyles Tool을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고 그때 [Get File]을 클릭합니다.

 

 

파일 저장 위치로 이동하여 복구하려는 파일을 선택한 후 [Scan Select File]을 클릭합니다.


 

 

해당 파일의 문제되는 부분의 숫자들이 표시가 됩니다. 필요한 항목들을 모두 체크 한 후에 [Process File]을 클릭합니다.

 

문제되는 파일의 삭제가 완료되면 엑셀에서 열어서 추가로 삭제할 수 있습니다.

(위의 경우 문제되는 이름들이지만 2286개나 되는 이름들이 제거가 안되었네요.)

 

이런 경우는 문서를 열어서 [수식]-[이름 관리자]로 가서 shift키를 누른채로 이름들을 선택하여 [삭제]버튼을 클릭하면 한번에 삭제를 할 수 있습니다.

 

예전에는 이것저것 코드도 돌려야하고 번거로운 작업이 많았었는데 위의 툴로 인해 엑셀의 문제되는 스타일 및 이름 제거가 훨씬 간편해 졌습니다.

 

한번 이용해보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란스로테입니다^^

오늘 소개할 프로그램은 엑셀에서 바이러스에 의해 늘어난 셀 서식과 이름을 정리해주는 프로그램입니다.

아래의 툴을 이용하면 아주 간단하고 쉽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자료에서 제공해주는 툴로 각 윈도우 버전 별로 사용할 툴이 틀리며 아래의 내용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OS 버전별 다운로드 위치]

   

1. Windows 7 용 .Net4.0 version: XLCleanerDotNET4.0. (.Net 4.0 client 필수 설치되어 있어야 사용가능) 

2. Windows 8은 직접 app으로 다운로드 가능
  
Windows 8: XLStylesTool for Windows 8 in the Windows App Store.

3. 웹버전 : Silverlight version of the XLStylesTool. (맥킨토시 및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기 어려운 고객에게 추천)

XLStylesTool Silverlight 5 Version on Windows Azure

http://xlgeekwebapps.cloudapp.net/default.aspx

   

[작업 진행 전 참고 사항]

  1. 아래의 과정을 진행하면 파일 원본이 직접 변경되는 작업이므로, 미리 다른 위치에 복사하여 백업한 후에 진행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정상적으로 제거 및 완료 시에 문제가 없다면 백업한 파일은 그 이후에 제거해 주시면 됩니다.)
  2. 암호화된 파일의 경우 암호를 해제해 주시기 바랍니다.
  3. 또한, 아래의 프로그램은 XLSX 확장자만 사용가능하며 Excel 2003 환경이나 파일 확장자가 XLS & XLSB의 경우 상위버전에서 열어서 XLSX로 저장한 후 진행하거나 아래의 링크 사이트에서 RemoveStyles03.xla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실행하면 엑셀에서 추가기능으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http://removestyles.codeplex.com/

   

[Windows 7에서 진행하는 방법]

Windows 7 용 .Net4.0 version: XLCleanerDotNET4.0. (.Net 4.0 client 필수 설치되어 있어야 사용가능)

   

1. 위의 경로에서 다운로드 받아 압축을 푼 후에 XLStylesTool.exe 을 실행합니다.

2. [Get Excel File]을 클릭하여 파일을 선택한 후 [열기]버튼을 클릭합니다.

   

3. 파일을 추가하면 아래와 같이 해당 파일의 스타일 및 이름의 개수 정보가 표시됩니다.

   

4. 아래의 [Process Options] 옵션을 모두 체크한 다음 [Process File]을 클릭합니다.

 

 

5. 위의 과정이 완료되면 파일이 열리고 열린 상태에서 [홈-셀스타일] & [수식-이름관리자]를 클릭하여 이전에 문제가 됐던 스타일 및 이름들이 제거되었는지 확인해 봅니다. (이름의 경우 실제 사용중인 이름들은 제거되지 않습니다만, 추가로 제거할 부분이 있다면 수동으로 [삭제]버튼을 클릭하여 제거해 주시면 됩니다. )

'Office > Exc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엑셀 2010에서 프린트 방지  (0) 2015.06.23
손상된 엑셀 파일 복구 툴 XLStyles Tool – Windows 8  (0) 2015.06.23

IT로 먹고 살지만 늘 배워야하고 부족하기에 공부한거나 일하면서 해결된 기술 자료등에 대하여 정리하기 위한 용도로 블로그를 시작합니다.

여기를 스쳐지나가는 모든 분들께 행운을 빌며~

오늘 하루도 좋은 하루되세요!

+ Recent posts